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4

REST, REST API, RESTful API 1. 개요 비슷비슷해보이는 REST, REST API, RESTful API에 대해 정리해보자 2. REST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어로, HTTP 통신을 활용하기 위해 고안된 아키텍처이다. 인터넷 상의 자원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API 설계 방식의 일종이다. 클라이언트는 URI로 표현된 자원을 HTTP 메서드를 이용해 CRUD 연산을 할 수 있다. State Transfer는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것(= 요청받은 자원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REST는 HTTP URI(Uniform R.. 2024. 2. 9.
쿠키와 세션 정리(Cookie, Session) 1. 개요 기술 면접 리스트를 보던 중 "쿠키와 세션에 대해 설명해보세요."라는 질문이 있었다. 대략적인 개념은 알고 있지만 말로 대답해보려고 하니 쉽게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쿠키와 세션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2.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의 바탕에는 HTTP 프로토콜이 있다. HTTP 프로토콜의 경우 기본적으로 Connectionless, Stateless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지않으면 쇼핑몰에서 옷을 구매하려고 로그인을 했음에도,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계속 로그인을 해야한다. 쿠키와 세션을 사용할 경우, 한 번 로그인을 하면 그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유지할 수 있다... 2024. 2. 5.
네트워크의 기본 규칙(OSI, TCP/IP모델) 프로토콜? -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 방법에 대한 규칙이나 표준 OSI모델?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 -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일곱 개 계층으로 나눠서 표준화한 통신 규약으로 현재 다른 모든 통신 규약의 기반이 된다. TCP/IP모델? - OSI 모델 7계층의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네 개 계층으로 단순화시켜 사용하는 모델 - 인터넷 모델이라도고 한다. 캡슐화 - 컴퓨터 통신에서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기술 역캡슐화 - 캡슐화와 반대로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하위 계층에서 추가한 정보와 데이터를 분.. 2023. 3. 26.
네트워크 기초지식(네트워크, 패킷, LAN/WAN) 1. 네트워크의 구조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를 두 대 이상 연결하여 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망 인터넷? -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 전 세계의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든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 패킷? -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사용되는 작게 분할된 데이터 조각으로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 -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것이 규칙 패킷을 작게 나누어서 전송하는 이유는? ->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기 때문 대역폭: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 202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