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3 메모리 관리 1. 프로세스와 메모리⚒️프로세스의 동작프로그램 카운터(PC)를 참조하여 수행될 명령을 메모리에서 읽어 CPU로 수행하는 것 ⚒️ 기억장치 계층구조: 적절한 비용으로 높은 성능을 내고싶기 위해 계층구조가 등장함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할 경우 -> 보조 기억장치 사용더 빠른 속도가 필요할 경우 -> 레지스터/캐시 메모리 사용 ⚒️ 메모리 관리- 메모리 호출 : 언제 새로운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둘 것인가?- 메모리 배치 :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를 메모리 내의 어느 곳에 둘 것인가?- 메모리 교체 : 메모리가 꽉 찬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적재해야한다면 어떤 프로세스를 제거할 것인가?- 그 외 : 고정/동적 분할, 고정/유동 적재영역 등 2. 단일 프로그래밍 환경⚒️ 단일 프로그래밍(현재는 거의X.. 2025. 4. 6. 프로세스와 쓰레드(2강) 프로세스의 개념 쓰레드의 개념프로세스와 쓰레드의 관계 1. 프로세스의 개요1) 프로세스 :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그램 : 동작을 하지 않는 정적, 수동적 개체- 프로세스 : 동작을 하는 능동적 개체 2)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아 동작- 자원 : 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파일 등- 동작 : CPU가 프로세스의 명령을 실행 3) 운영체제(프로세스 관리자)가 처리하는 작업- 프로세스 생성 및 종료-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스케줄링 작업- 프로세스의 상태 관리(실행중인지 중지되었는지 ..)- 작업관리자에서 현재 내 pc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을 확인할 수 있음 - 동일한 프로그램(ex.Hwp) 여러 번 실행시켰을 경우 동일한 이름으로 구분할 수 없기에 프로세스 아이디인 PID로 확인할 수 있음2.. 2025. 3. 9. 운영체제 소개 (1강) 1강 운영체제 소개운영체제는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이다. 컴퓨터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편리해지는 만큼 사용자를 위해 컴퓨터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자원의 관리나 활용이 효율적으로 동작해야 하는데, 운영체제는 그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1. 운영체제란 무엇인가?운영체제는 대표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며 응용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동작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의 모음이다. ⚒️운영체제의 역할1)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관리- 자원 : 하드웨어 자원, 소프트웨어 자원, 데이터- ex) 저장장치에서 데이터 읽어오기, 키보드나 마우스제어,.. 2025. 3.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