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면접준비2 REST, REST API, RESTful API 1. 개요 비슷비슷해보이는 REST, REST API, RESTful API에 대해 정리해보자 2. REST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어로, HTTP 통신을 활용하기 위해 고안된 아키텍처이다. 인터넷 상의 자원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API 설계 방식의 일종이다. 클라이언트는 URI로 표현된 자원을 HTTP 메서드를 이용해 CRUD 연산을 할 수 있다. State Transfer는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것(= 요청받은 자원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REST는 HTTP URI(Uniform R.. 2024. 2. 9. 쿠키와 세션 정리(Cookie, Session) 1. 개요 기술 면접 리스트를 보던 중 "쿠키와 세션에 대해 설명해보세요."라는 질문이 있었다. 대략적인 개념은 알고 있지만 말로 대답해보려고 하니 쉽게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쿠키와 세션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2.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의 바탕에는 HTTP 프로토콜이 있다. HTTP 프로토콜의 경우 기본적으로 Connectionless, Stateless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지않으면 쇼핑몰에서 옷을 구매하려고 로그인을 했음에도, 페이지를 이동할 때마다 계속 로그인을 해야한다. 쿠키와 세션을 사용할 경우, 한 번 로그인을 하면 그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유지할 수 있다... 2024. 2. 5. 이전 1 다음